Home [BaekJoon] 1018 체스판 다시 칠하기 JAVA
Post
Cancel

[BaekJoon] 1018 체스판 다시 칠하기 JAVA

🔗 백준 1018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18

문제

지민이는 자신의 저택에서 MN개의 단위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는 M×N 크기의 보드를 찾았다. 어떤 정사각형은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고, 나머지는 흰색으로 칠해져 있다. 지민이는 이 보드를 잘라서 8×8 크기의 체스판으로 만들려고 한다.

체스판은 검은색과 흰색이 번갈아서 칠해져 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각 칸이 검은색과 흰색 중 하나로 색칠되어 있고, 변을 공유하는 두 개의 사각형은 다른 색으로 칠해져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정의를 따르면 체스판을 색칠하는 경우는 두 가지뿐이다. 하나는 맨 왼쪽 위 칸이 흰색인 경우, 하나는 검은색인 경우이다.

보드가 체스판처럼 칠해져 있다는 보장이 없어서, 지민이는 8×8 크기의 체스판으로 잘라낸 후에 몇 개의 정사각형을 다시 칠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당연히 8*8 크기는 아무데서나 골라도 된다. 지민이가 다시 칠해야 하는 정사각형의 최소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M이 주어진다. N과 M은 8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보드의 각 행의 상태가 주어진다. B는 검은색이며, W는 흰색이다.


출력

첫째 줄에 지민이가 다시 칠해야 하는 정사각형 개수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풀이

이 문제는 완전 탐색 (Brute-Force Search)를 활용해야 했던 문제이다.

만들려는 보드의 크기가 8*8로 정해져있기에 시작 칸이 될 수 있는 범위는 N - 8, M - 8이라는 점을 유의하며 코드를 짰다.

입력받은 보드의 한 줄씩 String 배열에 할당하고, 각 요소를 순회하며 기준 보드와 다를때마다 카운트를 세줬다.

그리고 그 카운트가 min보다 작다면 min에 재할당을 해주었고, for 문이 모두 끝나게 되면 그 때 min이 출력되도록 로직을 구성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row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열
        int col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행

        String[] board = new String[row];
        for(int i = 0; i < row; i++) board[i] = (br.readLine());

        int min = Integer.MAX_VALUE; // 최소값 찾기 위한 최대값

        // 시작 칸이 될 수 있는 범위까지의 for문
        for(int i = 0; i <= row - 8; i++) {
            for(int j = 0; j <= col - 8; j++) {
                int sol = solved(i, j, board);
                if(min > sol) min = sol;
            }
        }
        System.out.println(min);
    }

    // 8 * 8
    private static int solved(int startRow, int startCol, String[] board) {
        String[] stanBoard = {"BWBWBWBW", "WBWBWBWB"}; // 기준
        int sol = 0;

        // 각 칸마다 비교하는 for문
        for(int i = 0; i < 8; i++) {
            for(int j = 0; j < 8; j++) {
                if(board[startRow + i].charAt(startCol + j)
                        != stanBoard[(startRow + i) % 2].charAt(j)) sol++;
            }
        }

        // 최대 경우의 수 : 64
        // 첫 색을 기준으로 센 수, 첫 색의 반대를 기준으로 센 수
        return Math.min(sol, 64 - sol);
    }
}

재귀 (반례라는 반례는 다 찾아서 테스트해도 통과하는데 백준만 통과 안시켜줬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행렬을 받아옴
        String[][] data = new String[N][M];
        for (int i = 0; i < N; i++) {
            String temp = br.readLine();
            for (int j = 0; j < M; j++) {
                data[i][j] = String.valueOf(temp.charAt(j));
            }
        }

        int min = Integer.MAX_VALUE;
        for (int i = 0; i < N - 7; i++) {
            for (int j = 0; j < M - 7; j++) {
                int temp = recur(0, data,i, j, 0, 0);
                if (min > temp) min = temp;
            }
        }

        bw.write(""+min+"\n");
        bw.close();
    }


    private static int recur(int count, String[][] data, int low, int cul, int j, int i) {
        String[][] stanBoard = {
                {"W", "B", "W", "B", "W", "B", "W" ,"B"},
                {"B", "W", "B", "W", "B", "W", "B", "W"}
        };

        // 최종탈출
        if (j == 8) {
            return Math.min(count, 64 - count);
        }

        // count영역
        if (i == 7 && j == 7) {
            if (!data[low+i][cul+j].equals(stanBoard[(low+i) % 2][j])) {
                count = recur(count + 1, data, low, cul, j+1, i);
            }
        } else if (i != 7 && j == 7) {
            if (!data[low+i][cul+j].equals(stanBoard[(low+i) % 2][j])) {
                count = recur(count+1, data, low, cul, 0, i+1);
            }
            else count = recur(count, data, low, cul, 0, i+1);
        } else if (i == 7 && j != 7) {
            if (!data[low+i][cul+j].equals(stanBoard[(low+i) % 2][j])) {
                count = recur(count+1, data, low, cul, j+1, i);
            }
            else count = recur(count, data, low, cul, j+1, i);
        } else if (i != 7 && j != 7) {
            if (!data[low+i][cul+j].equals(stanBoard[(low+i) % 2][j])) {
                count = recur(count+1, data, low, cul, j+1, i);
            }
            else count = recur(count, data, low, cul, j+1, i);
        }

        return count;
    }
}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