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는 말
오늘은 그동안 독학했던 내용들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그럼 바로 시작!!
1. 변수
변수란 데이터를 담는 공간을 말한다. 변수를 선언할 때에는 var, let, const를 사용한다.
-var는 재선언 및 값을 다른 값으로 변경하는 재할당이 가능하다.
-let은 재선언은 불가하지만 재할당은 가능하다.
-const는 재선언도 재할당도 불가하다. 그렇기에 값이 변하지 않는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면 좋다. 단, 값이 변하지 않는 상수의 변수명은 대문자로만 이루는게 좋다.
2.데이터 타입
- 데이터타입에는 String, Number, Function 등 이 존재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 String(문자형)
// 문자형은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백틱을 사용한다.
const str1 = "Hello";
const str2 = 'Hello';
const str3 = `Hello`;
// 숫자가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백틱 안에 있어도 문자형으로 구분된다.
const str4 = "20";
// 변수값에 기호를 추가하고싶으면 \를 입력하거나 다른 기호를 사용해야한다.
const str5 = "He's a boy."; // 가능
// const str6 = 'He's a boy'; // 불가능
// 백틱을 사용할 때 ${}를 사용하여 식을 값에 할당할 수 있다.
const str7 = `나는 ${30+1}살 입니다.`;
// - Number(숫자형)
// 숫자형은 별도의 기호없이 입력한다.
const num1 = 10; // 정수
const num2 = -10; // 음수
const PI = 3.14; // 실수, 변하지 않는 값
/*
- Function(함수)
함수는 자바스크립트에서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 블록 중 하나이다.
function 키워드를 이용하여 함수를 생성할 수 있다.
function 함수명 (매개변수) {
// 실행시키고자 하는 식
}
위 식과 같은 구성요소를 가지고있고
함수명(인자); 로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인자에 아무것도 쓰지않아도 함수는 호출된다.
*/
function plus (a , b) {
return a + b;
}
plus(3, 4);
/* 위 함수에서 함수명은 plus이고 매개변수는 a와 b이다.
여기서 매개변수는 인자에서 전달받은 값을 의미한다.
return은 함수를 실행한 후 나온 값을 반환해준다. */
// -Array(배열)
// 배열은 대괄호 안에 여러 값이 들어있다.
let students = ["Amy", "Tom", "Peter"];
// 배열에는 인덱스가 존재하는데 앞부터 0 , 1 , 2 ...로 커진다.
students[0]; // Amy가 호출된다.
students[0] = "Penny"; // 인덱스0의 값을 Penny로 바꾼다.
/*
-Object(객체형)
객체란 이름과 값으로 구성된 프로퍼티의 정렬되지 않은 집합이다.
프로퍼티의 값으로 함수가 올 수도 있는데, 이러한 프로퍼티를 메소드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이름은 피터피커이고 나이는 21살인 스파이더맨이 있다고 할 때
*/
const Spiderman ={
name : "Peter Parker",
age : 21,
}
/* 위 와 같은 객체를 생성할 수 있고 name과 age는 키(Key),
Peter Parker과 21은 키값(Value),
name : "Peter Parker" 과 age : 21 은 각각 프로퍼티(Property)라고 한다.
프로퍼티는 , 로 구분한다. */
// 객체에 접근할 때에는 . , []를 사용한다.
Spiderman.name
Spiderman['age'] // 와 같이 할 수 있다.
// 객체에 추가할 때에도 . , []를 사용한다.
Spiderman.gender = 'male';
Spiderman['gender'] = 'male'; // 와 같이 할 수 있다.
// 객체에 있는 값을 삭제하고싶을때는 delete 연산자를 사용한다.
delete Spiderman.gender;
// in 연산자를 사용하여 프로퍼티의 존재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country' in Spiderman ---false
'age' in Spiderman ---true
// -Boolean(불리언,불린)
// 불린형은 true와 false로 구성되어있다.
const a = true;
const b = false;
// 논리연산자를 확인할때 주로 사용된다.
// -Undefined,null
// Undefined는 변수에 값을 할당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var Unde; // 변수만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은 상태.
// null은 비어있는 데이터를 입력한 상태를 말한다.
var empty = null; // 비어있는 데이터를 변수에 할당한 상태.
3.typeof 연산자
- typeof 연산자를 사용하여 데이터타입을 구분할 수 있다.
1
console.log(typeof 3); // "number" 출력
4.기본 연산자
- 기본연산자에는 +,-,*,/,% 가 존재한다. *+는 더하기, -는 빼기,* 는 곱하기, /는 나누기, %는 나머지를 뜻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console.log(1+1); // 2 출력
console.log(10-5); // 5 출력
console.log(2*2); // 4 출력
console.log(6/3); // 2 출력
console.log(10%3); // 1 출력
const x = 1/0;
console.log(x); // Infinity 출력
console.log("Hello"/2); // NaN 출력 (NaN는 Not a Number의 줄임말이다.)
// %(나머지)는 보통 홀수짝수를 구하거나 어떤수 사이의 값을 반환할때 사용한다.
x%2=1 // 홀수
x%2=0 // 짝수
x%5=0 // 0~4 사이의 값만 반환.
- 거듭제곱은 *(곱하기)를 두번 사용하면 된다.
1
console.log(2**3); // 8 출력
- *와 /는 +-보다 우선순위로 계산되기 때문에 +-를 먼저 계산하고싶다면 ()를 사용해야한다.
- 연산자는 줄여서 사용할 수 있다.
1
2
3
let num = 10;
num = num+5;
num+=5 // 위 식과 동일
5.증가연산자, 감소연산자
- 증가연산자와 감소연산자는 1씩 더해주거나 빼준다.
- 증가연산자는 +(더하기)를 두번 사용하여 나타낸다.
1
2
let num = 10;
num++; // 11 출력
- 감소연산자는 -(빼기)를 두번 사용하여 나타낸다.
1
2
let num = 10;
num--; // 9 출력
❗❗❗주의❗❗❗
1
2
3
4
5
let result = num++; // 일 때는 10이 출력된다.
// 다른 변수에 증가연산자와 감소연산자를 사용할때는 위치가 중요하다.
let result = ++num; // 일 경우 num에 1을 더한 값을 출력하고
let result = num++; // 일 경우에는 num을 출력한 뒤에 1을 더한 값을 할당한다.
6.String(문자형)에서의 +
- 문자형에서도 +를 사용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const name = "M.J";
const my = "My";
const who = "name is";
console.log(my + who + name); // "My name is M.J" 출력
const a = "나는";
const age = 21; // 숫자형
const b = "입니다.";
console.log(a + age + '살' + b); // "나는 21살 입니다." 출력
// 이 식에서 age는 숫자형이었지만 출력될땐 문자형으로 바뀌었는데 이를 자동형변환이라고 함.
7.자동형변환
- 자동형변환은 자동으로 숫자형을 문자형으로 변환해주는것이다.
1
2
3
4
5
6
7
8
const Math = "90";
const English = "80";
const result = (Math + English) / 2; // 4540 출력
/* 숫자형이 아닌 문자형으로 인식했기에 합한 값이 아닌 앞뒤로 이어붙어진 채 2로 나누어졌다.
여기서 "9080"/2 가 숫자형으로 출력된 이유는 자동형변환때문이다.
이처럼 잦은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고 오류발생시 원인파악이 어렵기에 좋지않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명시적 형변환을 사용하는것이 좋다. */
8.명시적 형변환
- 명시적 형변환은 String, Number, Boolean 세가지가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String()은 문자형으로 변환시켜준다.
String(5) // "5"출력
// Number()은 숫자형으로 변환시켜준다.
console.log(Number("87642")); // 87642 출력
// 단, 숫자가 아니고 true와 false가 아닌 문자가 포함된 경우에는 NaN을 출력한다.
Number(true) // 1 출력
Number(false) // 0 출력
/* Boolean() 불리언형으로 변환될때는
숫자0, 빈 문자열'', null, Undefined, NaN는 false가 출력되고
그 외는 true가 출력된다.*/
// *주의*
Number(null) // 0 출력
Number(Undefined) // NaN 출력
Boolean(0) // false 출력
Boolean('0') // true 출력
Boolean('') // false 출력
Boolean(' ') // true 출력
9.비교 연산자
- 비교 연산자에는 <,>,<=,>=,==,!=가 있다. (< : 크다, > : 작다, <= :크거나같다, >= : 작거나같다, == : 같다, != : 다르다)
1
2
3
4
5
6
7
8
9
console.log(10>5) // true 출력
console.log(10==5) // false 출력
// 여기서 ==는 동등연산자이다
console.log(10!=5) // true 출력
const a =1; const b = "1";
console.log(a==b); // true 출력
console.log(a===b); // false 출력
// ===는 데이터타입까지 비교한다.